[Python] 딕셔너리 / 집합 / 불 자료형

Programming/PYTHON

[Python] 딕셔너리 / 집합 / 불 자료형

tnddj1219 2022. 1. 17. 16:42
728x90

딕셔너리

키(Key)와 값(Value)으로 가지고 있는 자료형

리스트나 튜플 처럼 순차적으로 해당요소값을 구하지 않고, Key를 통해 값을 얻는것이 특징

사용방법

딕셔너리 추가 [ex] A['number']=1

딕셔너리 요소 삭제: [ex] del A['number']

 

딕셔너리 주의 사항

딕셔너리를 만들 때에는 Key 에 리스트를 쓸 수 없다. -> Key 값은 변하지 않는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Key 값이 중복으로 사용될 수 없다.(중복될 경우,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Key 값이 무시된다.)

 

딕셔너리 관련 함수들

keys(): 딕셔너리의 Key 값이 출력된다.

values(): 딕셔너리의 Value 값들이 출력된다.

items(): 딕셔너리의 key와 value가 쌍을 이루어 출력된다.

clear(): 딕셔너리 초기화가 된다.

a={'name':'Seung','phone':'01012345678','age':22}

print("##### Key 출력 #####")
for d_key in list(a.keys()):
    print(d_key)
print("")
print("##### Value 출력 #####")
for d_value in list(a.values()):
    print(d_value)
print("")
print("#### #item 출력 #####")
for d_key, d_value in list(a.items()):
    print(d_key,"->", d_value)


집합

집합에 관련된 것을 쉽게 처리하기 위해 만든 자료형. set 키워드 사용

중복 허용 x  / 순서가 없다.

사용방법

set 자료형에 저장된 값을 인덱싱으로 접근하려면 리스트나 튜플로 변환한 후 해야 한다.

 

교집합 / 합집합 / 차집합 구하기

교집합: intersection() 명령어 사용

합집합: "|" 기호 또는 union() 명령어 사용

차집합: "-" 기호 또는 difference() 명령어 사용

s1=set([1,2,3,4])
s2=set([1,2,3,5,7])

print("[교집합]")
print(s1.intersection(s2))
print(s2.intersection(s1)) ### 두개의 결과는 동일함

print("[합집합]")
print(s1|s2)
print(s1.union(s2))  ### 두개의 결과는 동일함

print("[차집합]")
print(s1-s2)
print(s1.difference(s2))  ### 두개의 결과는 동일함

코드 실행 결과

 

집합자료형 관련 함수들

add(): 값 한개 추가

update(): 값 여러개 추가

remove(): 특정값 제거

s1=set([1,2,3,4])
s1.add(5)
print("5 추가:",s1)
s1.update([6,7])
print("6,7 추가:",s1)
s1.remove(4)
print("4 삭제:",s1)

코드 결과


불(Bool) 자료형

참(True)와 거짓(False)을 나타내는 자료형

반드시 첫글자는 대문자로 해야한다!

 

 

[출처] 점프 투 파이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