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내용은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책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 교보문고
취업과 이직을 결정하는 알고리즘 인터뷰 완벽 가이드 | 이런 독자에게 권합니다.■ IT 직군의 취업 준비생 / 예비 개발자■ 이직을 준비하는 개발자■ 알고리즘 대회를 준비하는 학생[특징]코딩
www.kyobobook.co.kr
난이도 중하 | 풀이시간 30분 | 시간제한 1초 | 메모리제한 128MB
문제
N x M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의 미로에 여러 마리의 괴물이 있어 이를 피해 탈출해야 한다. 현재 위치는 (1, 1)이고 미로의 출구는 (N,M)의 위치에 존재하며 한 번에 한 칸씩 이동할 수 있다. 괴물이 있는 부분은 0으로, 괴물이 없는 부분은 1로 표시되어 있다. 미로는 반드시 탈출할 수 있는 형태로 제시된다. 탈출하기 위해 움직여야 하는 최소 칸의 개수를 구하라. 칸을 셀 때는 시작 칸과 마지막 칸을 모두 포함해서 계산한다.
입력 조건
첫째 줄에 두 정수 N, M(4 ≤N, M ≤ 2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각각 M개의 정수(0혹은 1)로 미로의 정보가 주어진다. 각각의 수들은 공백 없이붙어서 입력으로 제시된다. 또한 시작 칸과 마지막 칸은 항상 1이다.
출력 조건
첫째 줄에 최소 이동 칸의 개수를 출력한다.
코드 구현
## 미로탈출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M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graph=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trip())) for _ in range(N)]
dx=[-1,1,0,0]
dy=[0,0,-1,1]
def bfs(x,y):
queue=deque([[x,y]])
while queue:
x,y=queue.popleft()
for xx, yy in zip(dx,dy):
moved_x=x+xx
moved_y=y+yy
if moved_x<=-1 or moved_x>=N or moved_y<=-1 or moved_y>=M: ## 갈수 없는 경로(범위 초과)인 경우
continue
if graph[moved_x][moved_y]==0: ## 괴물이 있는 경우
continue
if graph[moved_x][moved_y]==1: ## 방문 가능한 경우
graph[moved_x][moved_y]=graph[x][y]+1
queue.append([moved_x,moved_y])
bfs(0,0)
print(graph)
print(graph[N-1][M-1])
아래 1~3번을 반복하여 진행한다.
1. 출발지 (0, 0)에서 출발하여 목적지 (N-1, M-1)까지 미로를 탐색한다.
2. 이동하려는 좌표 (moved_x, moved_y)의 좌표값이 1로 괴물이 없거나 이미 방문하지 않은 좌표인 경우, 해당 좌표값 위치에 값을 갱신하고 queue에 좌표를 추가한다.
3. 최종적으로 목적지 (N-1, M-1)의 좌표값을 리턴한다.
'Programming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코테] 6-3 성적이 낮은 순서로 학생 출력하기(정렬) (0) | 2022.11.11 |
---|---|
[이코테] 6-2 위에서 아래로(정렬) (0) | 2022.11.11 |
[이코테] 5-3 음료수 얼려 먹기(DFS) (0) | 2022.03.15 |
[이코테] 4-3 개임 개발(구현) (0) | 2022.03.11 |
[이코테] 4-2 왕실의 나이트(구현) (0) | 2022.03.11 |